질문
임차인이 전출하고 동거하는 가족이 남는 경우
저는 지방에서 올라와 서울에서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하게 되어 미혼인 언니와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
다. 보증금 5,500만원에 임대차계약을 언니명의로 하고 같이 전입신고를 하고 사는데 언니가 혼인을 하게
되어 전출을 하게 됩니다. 전세계약서는 언니명의로 되어있는데 이후 이 집이 주인이 바뀐다던가 혹시 경
매 등이 될 경우에 계약자인 언니가 전출을 하여 불이익을 받게 되는 일은 없을까요?
답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은 임차인 본인 뿐 아니라
가족공동생활을 하는 가족의 주민등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므로 귀하의 경우 자매간에 자취를 위하여 언
니명의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전입신고를 같이하고 가족공동생활을 하였다면 계약자인 언니가 전출하
게 된다 하더라도 가족공동생활을 하는 귀하의 주민등록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의 대항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하겠습니다.
참고로 대항력의 유지를 증명하기 위하여 해당 임차주택에 계약자의 주민등록이 등재되어 있었음을 주민등
록의 이력을 기재한 초본을 발부받아 제시하면 가능하다 하겠습니다.
임차인이 전출하고 동거하는 가족이 남는 경우
저는 지방에서 올라와 서울에서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하게 되어 미혼인 언니와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
다. 보증금 5,500만원에 임대차계약을 언니명의로 하고 같이 전입신고를 하고 사는데 언니가 혼인을 하게
되어 전출을 하게 됩니다. 전세계약서는 언니명의로 되어있는데 이후 이 집이 주인이 바뀐다던가 혹시 경
매 등이 될 경우에 계약자인 언니가 전출을 하여 불이익을 받게 되는 일은 없을까요?
답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은 임차인 본인 뿐 아니라
가족공동생활을 하는 가족의 주민등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므로 귀하의 경우 자매간에 자취를 위하여 언
니명의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전입신고를 같이하고 가족공동생활을 하였다면 계약자인 언니가 전출하
게 된다 하더라도 가족공동생활을 하는 귀하의 주민등록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의 대항력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하겠습니다.
참고로 대항력의 유지를 증명하기 위하여 해당 임차주택에 계약자의 주민등록이 등재되어 있었음을 주민등
록의 이력을 기재한 초본을 발부받아 제시하면 가능하다 하겠습니다.
'중개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필지 위에 건축된 다가구주택의 전입신고를 한 지번만 한 경우 (0) | 2007.12.03 |
---|---|
임대차 계약서상 임차인과 실제 거주자가 다른 경우 대항력은? (0) | 2007.11.26 |
주소를 잘못 기재하여 주민등록부에 다른 주소가 기재되었습니다. (0) | 2007.11.06 |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 인정되는 대항력이란 무엇이며.. (0) | 2007.10.31 |
공사대금을 확보할 목적으로 채무자를 임대인으로 하여.. (0) | 2007.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