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4.4월 주택 매매거래 동향 및 실거래가 자료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주택거래는 금년 들어 수도권 중심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증감률은 다소 둔화되는 추세이다.
* ‘14년 누계(1~4월) 증감률 추이(전년동기비, %) : 수도권 +72.8, 지방 +27.3
** 증감률 추이(%,전년동월비) : (‘14.1)+117.4→(2)+66.6→(3)+34.2→(4)+16.6
‘14. 4월 거래량은 9.3만건으로 전년동월대비 16.6% 증가하였고, 5년 평균대비(‘09~‘13년)로도 2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4월 거래량(만건):(‘09)7.0→(‘10)7.3→(‘11)9.2→(’12)6.8→(‘13)8.0→(‘14)9.3
월별 거래량 추이(전국) |
월별 증감률 추이(전국) |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전년동월대비 거래량이 29.2% 증가하여 지방(+7.5%)에 비해 증가폭이 크며, 서울은 전년동월대비 31.1% 증가하였으나, 강남3구는 3.8% 증가하는데 그쳐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14.4월 주택매매거래량 (신고일 기준) >
구 분 |
’14.4월 |
’14.3월 |
’13.4월 |
증감률(’14.4월, %) |
누계(1~4월) | |||
전월比 |
전년동월比 |
5년 4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
전 국 |
92,691 |
89,394 |
79,503 |
3.7% |
16.6% |
21.0% |
319,729 |
45.0% |
수도권 |
43,002 |
43,921 |
33,283 |
△2.1% |
29.2% |
42.1% |
148,261 |
72.8% |
(서울) |
13,689 |
14,448 |
10,438 |
△5.3% |
31.1% |
40.9% |
47,982 |
80.5% |
(강남3구) |
1,870 |
2,414 |
1,801 |
△22.5% |
3.8% |
16.8% |
7,835 |
70.3% |
지 방 |
49,689 |
45,473 |
46,220 |
9.3% |
7.5% |
7.3% |
171,468 |
27.3% |
계약일 기준으로 살펴보면, 4월에 신고한 92,691건 중 2월에 계약한 건은 17,493건(18.9%), 3월 47,339건(51.1%), 4월 27,236(29.4%)건으로 집계되었다.
< 4월 신고분의 계약월 비교 >
(단위 : 건, %)
‘14.4월 신고건수 |
계약월 | ||||||||
‘14.2월 |
3월 |
4월 |
기타 | ||||||
구분 |
거래량 |
건수 |
비율 |
건수 |
비율 |
건수 |
비율 |
건수 |
비율 |
전국 |
92,691 |
17,506 |
18.9% |
47,339 |
51.1% |
27,236 |
29.4% |
610 |
0.7% |
수도권 |
43,002 |
9,909 |
23.0% |
23,125 |
53.8% |
9,465 |
22.0% |
503 |
1.2% |
서울 |
13,689 |
3,353 |
24.5% |
7,245 |
52.9% |
2,734 |
20.0% |
357 |
2.6% |
지방 |
49,689 |
7,597 |
15.3% |
24,214 |
48.7% |
17,771 |
35.8% |
107 |
0.2% |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동월에 비해 16.4% 증가하였고, 단독·다가구 13.5%, 연립·다세대 19.7% 각각 증가하였다.
수도권에서는 비아파트 주택의 거래 증가폭(단독·다가구 +40.5%, 연립·다세대 +31.8%)이 아파트(+27.3%)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14.4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전년동월比) >
구 분 |
전체 |
아파트 |
단독․다가구 |
연립․다세대 |
전 국 |
92,691 |
64,536 |
11,908 |
16,247 |
(16.6%) |
(16.4%) |
(13.5%) |
(19.7%) | |
수도권 |
43,002 |
29,969 |
3,068 |
9,965 |
(29.2%) |
(27.3%) |
(40.5%) |
(31.8%) | |
지 방 |
49,689 |
34,567 |
8,840 |
6,282 |
(7.5%) |
(8.3%) |
(6.4%) |
(4.6%) |
거래 금액별로는 수도권은 3~4억(+41.5%), 4~6억(+45.1%)대 주택에서, 지방도 3~4억(+43.1%), 4~6억(+58.6%)대 주택 등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14.4월 주택 금액별 거래량 증감률(전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년동월대비, %) >
구 분 |
전체 |
1억이하 |
1~2억 |
2~3억 |
3~4억 |
4~6억 |
6억초과 |
전 국 |
16.6% |
1.7% |
10.8% |
29.9% |
42.0% |
48.5% |
20.9% |
수도권 |
29.2% |
28.1% |
18.9% |
34.3% |
41.5% |
45.1% |
18.6% |
지 방 |
7.5% |
△4.6% |
5.6% |
24.7% |
43.1% |
58.6% |
29.6% |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계약일자 기준)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 및 수도권 일반단지, 지방 주요단지 등 모두 약보합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래량 및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포털(www.onnara.go.kr)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http://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개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임대차에 대한 묵시적 계약갱신의 경우 중개수수료 부담 주체는? (0) | 2014.05.26 |
---|---|
‘14.4월 주택인·허가, 착·준공, 분양 모두 증가 (0) | 2014.05.19 |
중개로 주공임대아파트 입주 후 임대차보증금을 보전받지 못할 경우? (0) | 2014.05.12 |
'14년 1분기 건축허가 면적, 전년동기 대비 4.8% 증가 (0) | 2014.05.02 |
’14.3월 전국 땅값 0.20% 상승 (0) | 201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