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경매초보

경매진행중 이사하면 우선변제 못 받는다.

정상의공인중개사 2007. 4. 6. 10:42

경매진행중 이사하면 우선변제 못 받는다.


(2002.7.1일 민사집행법 발효이후부터 경락일 이전 법원이 배당요구 종기일을 지정한다)


세입자가 경매로 팔린 건물의 보증금을 다른 채권보다 우선변제를
받으려면 마지막 경락기일까지 주민등록을 옮겨서는 안된다는 대법원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민사1부(주심 박재윤·朴在允 대법관)는 13일 중소기업은행은 경매가 끝나기 전에 이사한 소액임차인에게 우선 배당한 것은 부당하다”며 방모씨와 박모씨 등 2명을 상대로 낸 배당이의 확인소송 상고심(2000다61466)에서 이같이 판시, 원고패소판결을 내린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지법으로 돌려보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달리 공시방법이 없는 주택임대차에 있어서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인정받기 위한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이라는 요건은 그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의 취득시에만 구비하면 족한 것이 아니고 경매절차의 배당요구의 종기인 경락기일까지 계속 존속하고 있어야 한다”
며 “처음의 경락허가결정이 취소돼 신경매를 했거나 경락허가결정 확정후 최고가매수인이 경락대금을 납부하지 않아 재경매를 한 경우 ‘배당요구의 종기인 경락기일’이라 함은 배당금의 기초가 되는 경락대금을 납부한 경락인에 대해 경락허가결정을 한 마지막 경락기일을 말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그 이유에 대해 “동일한 임차주택에 대해 대항력을 가진 임차인이 중복해 나타나거나 가장임차인이 나타남으로 말미암아 경매절차의 다른 이해관계인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경매절차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은 배당요구가 있을 수 있는 최종 시한인 마지막 경락기일까지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은행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 소재 왕모씨 건물에 설정해 놓은 2억6천만원의 근저당권을 근거로 법원에 임의경매를 신청했으나, 왕씨 건물에 각각 1천7백만원과 1천8백만원의 보증금을 내고 방 2칸씩을 임차해 살던 방씨와 박씨에게 7백만원씩을 우선배당하자 “97년3월 최초 경락결정이 선고된 이후 경락인이 대금을 완납하지 못해 다시 경매가 진행돼 98년 7월에야 경락대금이 완납된 만큼 97년 11월과 12월 주민등록을 옮긴 방씨 등은 우선변제권이 없다”며 소송을 냈었다.